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

[블로그 운영] AI 검색엔진에서의 유입이 시사하는 것

by The Engineer 2025. 2. 9.
KoreanEnglishFrenchGermanJapaneseSpanishChinese (Simplified)

This post is written in Korean. Please use the toggle above to translate it into a language you are comfortable with.


작성일자: 2025/02/08

 

요약

1. AI 검색엔진은 여러 가지 검색엔진의 자료를 종합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출처도 표기해 준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2. 정보성 블로그는 AI 검색엔진의 대중화에 따라 더 노출이 많이 되는 효과가 있을 것 같다.

3. 결국 글의 퀄리티와 적절한 운영 전략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 같다.

 

유입 경로가 챗GPT, 퍼플렉시티, 뤼튼이라고?

  비상계엄 등의 혼란한 상황과 학위준비로 바빠서 글을 올리지는 못하고 다음 글의 주제를 정해놓고 있었다. 그래도 올려놓은 글이 다행히 도움이 되는 글이었는지 조회수가 꾸준히 나오고 있었고, 어느 순간부터 '기타 유입'의 숫자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그래서 호기심에 기타 유입 경로를 살펴보았는데 흥미로운 점이 있었다.

티스토리에서 확인한 기타 유입 경로. 뤼튼, 챗GPT, 퍼플렉시티가 들어오다니...

 

  사실 조회수가 일 100회 정도로 그리 높은 것도 아니고, 일반적이지 않을 수 있는 정보를 다뤄 유입 경로 등에 별로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는데, AI 검색엔진에서 조회해서 들어왔다는 사실은 정말 흥미로웠다. 그래서 내 블로그의 글을 직접 AI 검색엔진에서 검색해 보고자 퍼플렉시티에서 오리진 소프트웨어로 그래프 참조선을 추가하는 법을 검색해 보기로 했다. 

 

퍼플렉시티에서 오리진 그래프 참조선 추가하는 법으로 검색한 결과
단계별로 설명된 방법과 이미지가 첨부되어 있고, 해당 정보의 출처가 표시되어 있다.

 

  단계를 보는데 너무 자세하게 쓰여 있고, 너무 익숙하다고 생각했는데 필자가 쓴 글에서 가져온 내용이었기 때문이었다. 그 외에 전체적인 검색 경험은 꽤 괜찮았는데, 우선 출처가 표시되어 있어 원본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또한 여러 글들을 바탕으로 정리해서 나름 정보를 종합하여 알려주며 (출처에 총 8개의 글이 있음), 이미지나 동영상을 오른쪽에 따로 제시함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정보에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생각보다 긍정적이었던 AI 검색엔진의 경험에, 블로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AI 검색엔진이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AI 검색엔진이 전체적인 검색과정을 어떻게 변화시키게 될까?

  사용자가 검색엔진으로부터 얻고자 하는 것은 '원하는 정보'이다. 이는 인터넷이 시작되던 시절부터 가장 널리 쓰이는 기본 기능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존 검색엔진들은 검색 가능한 페이지들의 정보 내용과 그 퀄리티를 이미 판별해 놓았으며 이를 키워드와 연결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이미 만들어놓았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현재의 AI 검색엔진이 어떤 알고리즘으로 정보의 정확성을 판별하는지도 잘 모르고 그 성능이 특별히 뛰어난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AI 검색엔진을 잠깐 사용하였던 경험만으로 이미 기존 검색엔진보다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말 좋았던 점은 여러 검색엔진들로부터의 결과를 한 번에 모아준다는 것좀 대충 검색해도 원하는 정보를 잘 찾아준다는 것이다. 필자가 10대 초반부터 인터넷 검색을 할 때에는 구글에서 먼저 검색한 후 네이버에서 다시 같은 키워드를 검색해보고는 했다. 실제로 두 검색엔진은 결과가 꽤나 다르게 나오고, 가끔은 네이버에서도 귀중한 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이후 2010년대 중반부터는 유튜브에서 검색을 하는 것 또한 중요해졌고, 이제는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키워드로 검색을 반복하고 있었다. 거기에 중요한 키워드를 찾기 위해서 항상 그 분야를 추가로 공부하여야만 하기도 했다. 그런데 퍼플렉시티를 사용하니 다양한 검색엔진의 자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중요한 부분이 잘 요약되어 제공된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다. 이는 검색경험을 전체적으로 매우 간결하고 깔끔하고 만족스럽게 만들어 주었다. 결론적으로, AI 검색엔진은 전체적인 검색과정을 더욱 간결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보였다. 여기저기 들쑤실 필요 없이 검색엔진에 한번 검색하면 되기 때문이다.

 

정보성 블로그는 오히려 AI 검색엔진의 수혜를 받을 것 같다.

  AI 검색엔진의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 검색하였을 때 '없는 자료'는 당연히 검색이 되지 않는다. 사실 그렇게 수준이 높지 않은 필자도 일반적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자료를 찾아서 정보성 블로그에 글을 만들어 공유하는 만큼, 블로그 아이템은 전략을 잘 짜면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나 가까운 미래에 AI 검색엔진이 아예 없는 정보를 스스로 만들어서 제안해 주는 그야말로 '만능 백과사전' 같이 발전할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좋은 글은 오히려 AI 검색엔진을 통해 더 노출이 용이해질 것이고 따라서 그동안 해오던 대로 포스팅을 하면서 추이를 지켜보면 될 것 같다.

 

참고자료

없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