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탐구/Perplexity 활용

[Perplexity 활용] Perplexity Research (연구) 검색 과정 확인하는 방법

by The Engineer 2025. 5. 29.
KoreanEnglishFrenchGermanJapaneseSpanishChinese (Simplified)

This post is written in Korean. Please use the toggle above to translate it into a language you are comfortable with.


작성일자: 2025/05/28

 

요약

AI 검색엔진 활용 시, 내가 모르는 분야의 검색에서 검색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과정을 거쳐 검색 결과에 다다랐는지 이해할 수 있다. Perplexity에서 Research (연구) 검색 과정을 추후에 열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tep 1. (데스크탑, 랩탑) Perplexity 홈 ▶ 좌측 홈  도서관   원하는 검색 결과 클릭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Perplexity 홈  하단 도서관 탭  원하는 검색 결과
Step 2. (데스크탑, 랩탑) 질문 아래에 있는 작업 버튼을 클릭한다.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질문 아래에 있는 Perplexity Research 버튼을 클릭한다.

 

풀이과정이 있는 솔루션의 위대함 (이과 한정)

학창시절의 기억이다. 공부를 하고 연습문제를 푸는데,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문제를 푸는 경우가 허다하여 답이 맞아도 딱히 개운하지가 않은 느낌이 들고는 했었다. 시간을 들여 열심히 고민해보면서 개념을 쌓아가는 기억이 있는데, 이 또한 고등학생 때까지였다. 대학교에 들어가서부터는 2년, 4학기에 걸쳐 엄청난 양의 지식을 소화하거나 혹은 노는 데에 바빠 풀이과정이 있는 솔루션이 그렇게 아쉬울 수가 없었다. 내가 푸는 방법이 맞는지 아닌지는 둘째치고 사실상 답이 나오게끔 식을 끼워맞추는 나의 모습은 참 부끄러웠다. 어쨌든 이렇게 풀이과정이 있다면 이를 따라 논리의 전개과정을 다시 한 번 보면서 그 연결고리를 가늠해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는데, 확실히 그런 기회는 흔치 않았던 것 같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그렇게 많은 분야를 동시에 배우지는 않지만, 오히려 당장 전문성을 위한 지식 이외에 삶을 살아가면서 필요한 또 다른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배워나가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 동안의 경험을 돌이켜보면, 내가 뭘 모르는지를 정의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관련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무작위적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결과를 살펴보며 원하는 것과 관련된 것 같은 부분을 공부하고, 이를 무수히 반복해야 한다. 그러나 AI 검색엔진을 이용하면 내가 묻는 것을 완전하게 정의하지 않아도 생각보다 말을 잘 알아듣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더해서, 그러한 결과가 도출될 때까지의 논리 전개과정을 보면 어떤 키워드를 사용했는지, 어떤 식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현재 상태를 파악했는지, 궁극적으로 요청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해결해 나갔는지 대략적인 힌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문 분야라면 아직 AI 검색엔진보다 내가 더 나은 부분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분야에서는 누구나 초보이기 때문에 이처럼 논리 전개과정을 들여다 보는 것이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는데에 꽤나 도움이 된다 하겠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erplexity 에서 검색한 후 논리 전개방법을 확인하는 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한다.

 

Perplexity 에서 검색 후 논리 전개방법을 확인하는 방법

AI 검색엔진 활용 시, 내가 모르는 분야의 검색에서 검색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어떤 과정을 거쳐 검색 결과에 다다랐는지 이해할 수 있다. Perplexity에서 Research (연구) 검색 과정을 추후에 열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Step 1. (데스크탑, 랩탑) Perplexity 홈 ▶ 좌측 홈 도서관   원하는 검색 결과 클릭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Perplexity 홈 하단 도서관 탭 원하는 검색 결과
Step 2. (데스크탑, 랩탑) 질문 아래에 있는 작업 버튼을 클릭한다.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질문 아래에 있는 Perplexity Research 버튼을 클릭한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Step 1. (데스크탑, 랩탑) Perplexity 홈 ▶ 좌측 홈  도서관   원하는 검색 결과 클릭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Perplexity 홈  하단 도서관 탭  원하는 검색 결과

우선, 논리 전개방법을 확인할 질문을 찾아 들어가야 한다. 데스크탑과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의 접근방법이 다른데, 기본적으로 도서관을 클릭하면 그동안 검색했던 결과들이 모여있다.

 

데스크탑, 랩탑에서 Perplexity 검색결과에 접근하는 방법
데스크탑, 랩탑에서 Perplexity 검색결과에 접근하는 방법
Perplexity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에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
Perplexity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에 접근하는 방법

 

 

Step 2. (데스크탑, 랩탑) 질문 아래에 있는 작업 버튼을 클릭한다.

              (핸드폰 어플리케이션) 질문 아래에 있는 Perplexity Research 버튼을 클릭한다.

선택한 질문을 열면, 질문 아래에 여러 가지 버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데스크탑 및 랩탑에서는 '작업'버튼을,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에서는 Perplexity Research 버튼을 누르면 된다.

데스크탑 Perplexity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의 검색 전개과정을 보는 방법을 설명하는 이미지
데스크탑 Perplexity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의 검색 전개과정을 보는 방법

 

 

핸드폰 Perplexity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의 검색 전개방법을 보는 방법을 설명한 이미지
핸드폰 Perplexity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전에 검색한 결과의 검색 전개방법을 보는 방법

 

비록 검색 전개과정이 영어로 이루어져 있지만, 하나하나 찬찬히 읽어보면 어느 단계에서 대략 어떤 결과를 내렸고, reading에 있는 페이지가 그 근거라는 사실을 알게된다. 모르는 분야에서 이러한 단계를 하나씩 따라가는 것이 좀 덜 막막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참고자료

없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